1. 깃허브란?
- 버전관리 시스템(Version Management, not by changing the file name)
- 효용 : Backup, Recovery, Collaboration
- 본질 : 변경사항을 관리한다.
>> 깃은 어렵다.
그래서 Dropbox나 Google Drive를 통해서도 가능하다.(쉽게)
Dropbox는 버전관리 시스템을 일반인이 쉽게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
2. 왜 깃이 어려운가요??
- 실제 프로젝트의 코드가 복잡할수록 깃을 공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.
- 실제로 깃이 내가 하고자하는 것보다 훨씬 어렵게 여겨질 수 있다.
>> 자신의 상황에 알맞게 사용할 것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1. 설치
2. 저장소 만들기
- pwd : 현재 위치를 알려준다
- cd : 위치 찾아가기
- mkdir :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든다.
- git init : 현재 디렉토리를 git의 (버전) 저장소로 만든다.
이 때 .git 이라는 파일이 생기는데, 이것은 버전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절대 지우면 안된다!!
3. git이 관리할 대상 파일 지정하기
- vim [ 파일명 ] : 파일을 생성한다.
- git add [ 파일명 ]
- git status
4. 버전 만들기
- version : 의미있는 변화를 뜻함
-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"
-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"
>> 작가를 지정해주는 것과 같음 / 최초에 한 번만 필요
- git commit >> vim화면 사용
* vim화면에서?
- "i" : 입력가능하게 해준다. 나올때는 ESC
- 완전히 vim에서 나오려면 ":wq"를 입력한다.
- git에서 새로운 파일이 생겼을 때, 버전관리를 명명할 때는 add 명령어를 쓴다.
- 또한, git에서 이미 있는 파일에 수정버전 관리를 명명할 때도 add 명령어를 쓴다.
- git log : 이 때까지의 변경사항을 볼 수 있다. (q키를 통해 나올 수 있음)
5. stage area
- git add 기능을 통해 선택적인 commit을 가능하게 한다. : Git의 혁신
- stage area : add를 통해 만든 commit 대기상태
6. 변경사항 확인하기
- git log의 옵션을 통해 활용이 가능하다.
1) git log -p : 이전 commit과의 차이점을 보여준다.(historical)
2) git diff commit ID_1 commit ID_2 : 두 commit 간의 차이를 보여준다.
3) 작업 후 git diff : 어떠한 작업을 했는지 확인 가능 (commit 전 마지막으로 review 가능)
- add 한 후에는 안보인다.
7. 과거버전으로 돌아가기
- 어렵고, 굉장한 주의가 필요하다.
- git reset commit ID --hard : 해당 commit ID를 최신으로 한다.
>> 실제로는 남아있고, 복구가 가능하다.
그러나 공유한 이후에는 reset을 절대로 해선 안된다.
hard는 조금 위험한 reset 방법
- git revert : 취소하면서 새로운 버젼을 만들 수 있다.
>> 그냥 있다는 것 정도만 알아두고, 나중에 더 공부해서 사용할 것..
8. 명령의 빈도 & 매뉴얼
- git commit --help : 옵션에 대한 도움말을 얻을 수 있다.
- git commit -a : 바로 add를 실행한다.
- git commit -m "commit message" : commit message를 editor를 안켜고 바로 실행할 수 있다.
'분석 > 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깃허브 푸시 오류 해결 (계정 보안 정책 변경, Personal Access Token 생성) (0) | 2021.08.14 |
---|---|
[github] 초보자의 깃허브 탐방 (0) | 2018.04.19 |
[깃허브] 생활코딩(2) (0) | 2018.02.01 |
[Git] 깃허브를 배워보자 (0) | 2018.01.29 |